정보의 바다

과연 지구에는 얼마나 많은 대양(큰 바다)이 있을까요?

동히지지 2024. 11. 22. 02:35
반응형

목성의 위성 유로파와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가 얼음으로 덮여 있긴 하지만, 태양계에서 진정한 물의 행성은 바로 지구입니다.

지구 표면의 약 71%는 염수로 이루어진 대양으로 덮여 있으며, 대륙에는 호수, 강,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바다도 존재합니다. 이 중에서 가장 큰 수역은 대양인데, 실제로 지구에 몇 개의 대양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.

과연 우리 행성에는 몇 개의 대양이 있을까요?

역사적으로, 많은 지도와 교과서에서는 태평양, 대서양, 인도양, 북극해의 4대 대양 모델을 제시해 왔습니다. 이 중에서 태평양, 대서양, 인도양은 주요 대양으로 꼽히며, 북극해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경향이 있습니다. 이는 북극해가 다른 대양보다 훨씬 작고, 지도 끝부분에 위치하며, (부분적으로나마) 얼음으로 덮여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.

그러나 실제로 지구의 대양 수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여러 과학 기구, 국제수로기구(IHO), 그리고 많은 국가 정부는 다섯 번째 대양, 즉 남극해(남대양)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습니다.


남극해는 남위 60도 아래에 위치한 남극 주변의 수역을 포함하며, IHO 회원국들 간에는 그 경계에 대해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습니다.

그러나 남극 순환 해류와 남극 대륙 외곽을 둘러싼 바람이 자연적인 구분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, 남극해를 대서양, 태평양, 인도양과 분리하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이 구분은 해양학적 및 기상학적 관점에서 남극 수렴대로 표현됩니다. 2021년 6월, 비영리 연구 및 교육 기관인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가 이 수역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남극해의 지위가 다시 한번 주목받게 되었습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, 남극해의 경계는 여전히 보편적으로 수용되지 않고 있습니다.

실질적으로 보면, 사실 하나의 대양만 존재한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. 명명된 모든 대양은 최소 두 개 이상의 다른 대양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.

이러한 하나의 연속적인 대양이라는 현실은 열염 순환(열염환류), 즉 전 지구 해양 컨베이어 벨트로도 입증됩니다. 이 순환은 표면의 해수를 심층수로 교체하고, 심층수를 다시 다른 곳의 표면수로 천천히 교체하면서 모든 대양을 연결합니다.

반응형